2007 KeSPA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 KeSPA컵은 2005년에 이은 두 번째 KeSPA컵 대회이다. 스타크래프트, 스페셜포스, 카트라이더, 워크래프트3, 카운터스트라이크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별 우승, 준우승, 3위 팀에게 상금과 문화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되었다.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는 MBC게임 히어로가 온게임넷 스파키즈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스페셜포스 부문에서는 IT뱅크, 카트라이더 부문에서는 문호준, 워크래프트3 부문에서는 박준, 카운터스트라이크 부문에서는 라베가 게이밍이 각각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e스포츠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7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7은 다양한 PC 및 Xbox 360 게임을 종목으로 전 세계 게이머들이 참여한 국제적인 e스포츠 대회로, 대한민국 선수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2007년 e스포츠 - 다음 스타리그 2007
다음 스타리그 2007은 2007년에 진행된 e스포츠 대회로, 김준영이 변형태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여 김준영의 개인 통산 첫 스타리그 우승으로 기록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는 군단의 심장으로 진행된 한국 프로리그로, 중계사 변경, 팀 해체 및 합류 등의 변화 속에서 KT 롤스터가 우승, CJ 엔투스와 진에어 그린윙스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진에어 그린윙스
진에어 그린윙스는 2011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2020년 해체되었다. - 비디오 게임 -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성공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기업이자 지주회사로,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비디오 게임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2007 KeSPA컵 | |
---|---|
리그 정보 | |
리그 이름 | 2007 KeSPA컵 |
리그 시작일 | 2007년 3월 9일 |
리그 종료일 | 2007년 3월 11일 |
후원사 | 문화관광부 |
개막전 | 2007년 3월 9일 |
총 상금 | 6200만원 |
이전 시즌 | KTF BiGi KOREA e스포츠 2005 |
다음 시즌 | 2014 KeSPA컵 |
2. 대회 개요
KeSPA컵은 KTF BiGi KOREA e스포츠 2005 이후 두 번째로 개최되는 대회이다.[1]
2007 KeSPA컵 각 종목별 우승, 준우승, 3위에게는 상금과 문화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되었다. 종목별 총상금은 다음과 같다.
KeSPA컵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는 프로게임단과 예선을 통과한 아마추어 게임단이 16강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을 겨루며, 모든 경기는 팀리그에서 사용된 승자연전제 방식으로 진행된다.[1] 16강전과 8강전은 5전 3선승제, 4강전과 결승전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1]
스타크래프트 이외의 종목으로는 스페셜포스, 카트라이더, 워크래프트3, 카운터스트라이크가 있다.[1]
3. 상금 및 수상 내역
3. 1. 스타크래프트 부문
총상금은 2200만원이며, 다음과 같이 분배되었다.
우승팀 및 우승자에게는 문화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되었다.[1]
3. 2. 스페셜포스, 카트라이더 부문
총상금은 1400만원이며, 우승자에게는 1000만원, 준우승자에게는 300만원, 3위에게는 100만원이 수여되었다. 우승팀 및 우승자에게는 문화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되었다.[1]3. 3. 워크래프트3, 카운터스트라이크 부문
워크래프트3, 카운터스트라이크 부문의 총상금은 600만원이었다. 우승자에게는 300만원과 문화관광부 장관상이 수여되었고, 준우승자에게는 200만원, 3위에게는 100만원이 수여되었다.4. 스타크래프트 부문 진행 방식
프로리그 엔트리제가 아닌 팀리그에서 사용된 승자연전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과 8강전은 5전 3선승제, 4강전과 결승전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다.
5. 스타크래프트 부문 대진표 및 결과
2007 KeSPA컵 스타크래프트 부문은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 이스트로, 르까프 OZ, MBC게임 히어로가 승리했다. 4강전에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와 MBC게임 히어로가 각각 이스트로와 르까프 OZ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MBC게임 히어로가 온게임넷 스파키즈를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5. 1. 16강전
팀 1 | 승 | 팀 2 | 패 |
---|---|---|---|
삼성전자 칸 | 3 | 더블에스 (아마추어) | 0 |
온게임넷 스파키즈 | 3 | KTF 매직엔스 | 0 |
CJ 엔투스 | 2 | SK텔레콤 #2 (아마추어) | 3 |
이스트로 | 3 | 공군 ACE | 1 |
한빛 스타즈 | 3 | 팀명왜정해? (아마추어) | 1 |
팬택 EX | 1 | 르까프 OZ | 3 |
MBC게임 히어로 | 3 | fOu팀 (아마추어) | 1 |
STX SouL | 3 | SK텔레콤 T1 | 0 |
5. 2. 8강전
8강전에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 이스트로, 르까프 OZ, MBC게임 히어로가 승리하였다.[1]
5. 3. 4강전
온게임넷 스파키즈한국어가 이스트로를 4: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다.[1] MBC게임 히어로는 르까프 OZ를 4:2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다.[1]팀 | 승 | 패 | 결과 |
---|---|---|---|
온게임넷 스파키즈한국어 | 4 | 0 | 승리 |
이스트로 | 0 | 4 | 패배 |
팀 | 승 | 패 | 결과 |
MBC게임 히어로 | 4 | 2 | 승리 |
르까프 OZ | 2 | 4 | 패배 |
5. 4. 결승전
온게임넷 스파키즈한국어와 MBC게임 히어로한국어의 결승전 경기 결과, MBC게임 히어로한국어가 4:3으로 우승을 차지했다.[1]온게임넷 스파키즈 | 3 | 4 | MBC게임 히어로 |
---|---|---|---|
박명수한국어, 안상원한국어 | O | 김재춘한국어, 정영철한국어 | |
박명수한국어 | X | 김동현한국어 | |
김창희한국어 | O | 염보성한국어 | |
안상원한국어 | O | 김택용한국어 | |
전상욱한국어 | X | 이재호한국어 | |
이승훈한국어 | O | 박지호한국어 | |
김창희한국어 | X | 고석현한국어 |
6. 대회 최종 결과
2007 KeSPA컵영어은 스타크래프트 부문과 기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는 MBC게임 히어로가 우승을, 온게임넷 스파키즈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르까프 OZ와 이스트로는 공동 3위를 기록했다. 기타 종목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목 | 우승 | 준우승 | 3위 |
---|---|---|---|
카트라이더 | 문호준 | 유임덕 | 김동주 |
스페셜포스 | IT뱅크 | E1 Family | Rt Au |
Warcraft III|워크래프트3영어 | 박준 | 노재욱 | 이성덕 |
Counter-Strike|카운터스트라이크영어 | 라베가 게이밍 | project_kr | zGs |
6. 1. 스타크래프트 부문
MBC게임 히어로가 우승을 차지하였고, 온게임넷 스파키즈가 준우승을, 르까프 OZ, 이스트로가 공동 3위를 기록하였다.6. 2. 기타 종목별 결과
종목 | 우승 | 준우승 | 3위 |
---|---|---|---|
카트라이더 | 문호준 | 유임덕 | 김동주 |
스페셜포스 | IT뱅크 | E1 Family | Rt Au |
Warcraft III|워크래프트3영어 | 박준 | 노재욱 | 이성덕 |
Counter-Strike|카운터스트라이크영어 | 라베가 게이밍 | project_kr | zGs |
6. 2. 1. 카트라이더 부문
'''우승''': 문호준, '''준우승''': 유임덕, '''3위''': 김동주6. 2. 2. 스페셜포스 부문
우승: IT뱅크 (이재백, 김상엽, 조규현, 박종석, 윤영진), 준우승: E1 Family, 3위: Rt Au6. 2. 3. 워크래프트3 부문
Warcraft III영어 부문에서 박준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노재욱이 준우승, 이성덕이 3위를 기록했다.6. 2. 4. 카운터스트라이크 부문
Counter-Strike|카운터스트라이크영어 부문은 '''라베가 게이밍'''이 우승, project_kr이 준우승, zGs가 3위를 차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